Dream/저널리스트

2019년 여름방학 - 성균관대학교 예필재 언론고시 특강 (7)

IOAH 2019. 10. 5. 22:57

 

 

작문 : → 중앙일보 [김정기의 소통 카페] 좋음 →설명하는 느낌이 들지 않게

       1. 신문 1면 TOP 기사는 매일 꼭 필사해보기 (원고지에다가) 

       2. 칼럼(특히 데스크 칼럼) → 논술 준비

          최소 1회는 해보기

       3. 시사적인 용어(정치/경제/사회) → 모르는 것 있으면 꼭 찾아보면서 알아야 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그래야지 나의 관점이 생길 수 있다.

 

논술:

       1. 서/본/결 다 같은 논리구조를 가져야 한다.

       2. 예시를 들어서 쉽게 설명해야 한다.

          추상적인 표현 가급적 삼가.

             ex) 사회가 병든다 → 도대체 어떻게 병드는대?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→ 구체화시켜야 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ex) 운동하면 건강해진다 (X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달리기를 하루 30분씩 하면 심폐기능과 지구력이 건강해진다 (O)

       3. 글쓰기의 모든 목적은 사회성을 띠어야 한다.

       4. 자기 경험만으로 추론 금물 → 이런 당연시하는 말투는 금지

       5. 인과관계 (서-본-결) 잘 성립하게.

 

 

※ 헤밍웨이 / 톨스토이 → 정말 좋은 글

   "내러티브 방식의 기사" → 책 "콜디스트 윈터" 참고.

 

내가 쓰는 기사도 내가 정답이다라고 말하면 안 된다. 판단은 독자가!

But 논술은 내 주장이 들어가야 한다.